글번호
739213

[교과목] 해충방제학 기말 안내

작성자
농학과
조회수
1889
등록일
2025.02.26
수정일
2025.02.26

2022학년도부터 새로 신설된 교과목인 해충방제학의 기말고사 준비와 관련하여 많은 문의가 있어

교수님의 답변을 공지드리니 학습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말고사는 강의자료(PPT, 웹교안)와 방송강의 내용에서만 출제됩니다.

   웹교안에 연습문제와 비슷한 형태로 출제되니 강의자료와 방송강의를 토대로 학습하시면 됩니다.



# 강의별 핵심내용

1-3강 : 공충 및 해충의 정의 및 구분, 구조 및 기능, 환경 및 생태

곤충과 해충의 정의 및 구분을 통해 해충과 경제적인 개념의 이해를 확실히 하고, 곤충(해충)의 내외부 구조와 기능을 학습해

일반적인 곤충(해충)의 생리 및 특성을 이해하며, 환경과 관련된 곤충(해충)의 특성과 행동 특이적인 면들을 학습하여 추후 

해충의 생리인 면들을 이용한 방제 및 관리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4-5강 : 해충에 의한 농업생산물의 피해(해충밀도, 작물생장) 및 해충의 발생예찰

해충이 작물에 어떻게, 어떤 피해를 입히는지와 해충밀도가 작물의 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피해에 대해 경제적인 측면과

생태적인 측면으로 이해하고, 해충의 발생예찰과 발생예찰 조사법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해충의 발생 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해충의 발생예찰을 위해 필요한 조건 및 방법과 다양한 해충발생예찰법을 통한 해충의 발생동태 확인과 함께 해충방제 여부 

의사결정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합니다.

 

6-9강 : 해충의 방제법과 종합적 해충관리

해충방제의 역사를 학습하고 어떻게 해충의 방제가 진행돼왔는지 이해하고, 법적 방제 • 경종적 방제 • 작물의 저항성 이용 • 

물리적-기계적 제 • 화학적 방제 • 생물적 방제 • 미생물적 방제 • 행동적 방제 • 유전적 방제 등의 해충의 방제법에 따른 

차이점과  을 파악함으로써 해충을 박멸 대상이 아닌 관리의 대상으로서 해충의 종합적 관리체계 확립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합니다. 


10-15강 : 작물별 해충 각론

 • 채소 및 시설작물 • 밭작물 • 과수 • 산림 • 저곡 작물들의 재배 및 관리에 있어 문제가 되는 해충들에 대한 생태 •  

, 해충에 의한 피해, 해충의 방제법 등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작물별 해충의 방제 및 관리에 응용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해충방제학에서 핵심적으로 중요시해야 하는 내용들을 살펴봤습니다. 해충별 세부적인 내용들의 파악도 중요하지만 거시적인 

측면에서의 해충의 이해와 작물의 특성에 따른 해충의 생태 및 피해 등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방제법 및 관리체계에 대해서 

접근하고 이해한다면 조금 더 학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해충방제학이 신설교과목이고 방송대 출판문화원에서 발행한 전용 교재가 없기 때문에 강의자료와 강의에서 언급됐던 내용들과 

연습문제 등을 통한 강의 내용의 학습 및 이해가 충분히 이뤄진다면 기말 평가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